컴퓨터활용-참고

[스크랩] 윈도우XP팁

영웅호걸짱 2011. 2. 14. 21:27

                                     

                                     WindowsXP Tip        

    1. 윈도우XP에서 기본아이콘(내컴퓨터.내문서.Explorer) 보이게 하기 
      XP를 설치하고나면 바탕화면에 휴지통만 보인다. XP의 시작그룹속에

      모두 내장되었기때문인데 이전처럼 바탕화면에 기본아이콘이 보이게 할려면

      바탕화면에서 오른쪽마우스클릭--> 속성-->바탕화면-->바탕화면사용자지정 -->

      내바탕화면 아이콘에서 필요항목을 체크하면 된다.
    2. 파일 확장자와 상태표시줄 나타내기
      * 탐색기를 열고 도구-폴더옵션-보기- 숨긴파일 및 폴더에서 알려진 파일형식의
        확장명 숨기기에 앞의 ∨ 표시를 해제하고
      * 탐색기-보기-상태표시줄을 누르면 아래 시작줄에 개체수와 크기를 나타낸다

    3. 시작버튼   오른쪽에 있는 아이콘을 제거하는 방법 
       각종 프로그램 설치로 인하여 생긴 위의 아이콘들이 많이 있으면 윈도우가 부팅될 때
       이를 다읽고 부팅되므로 부팅속도가 느려지므로 불 필요한 것만 제거하는 것이 좋다
       방법 : 시작-실행- 열기박스에 msconfig 라 넣고 확인하고 시스템구성 유틸리티의 
              시작프로그램을 열어 지우고저 하는 것을 골라 ∨표시를 없앤다
    4. DirectX 버전 확인방법 
       시작 - 실행에서 dxdiag 라고 쳐 넣고 확인(enter)한다.
       참고 : 멀티미디어(동영상.게임.음악등)의 원활한 재생을 위해 필수적임
    (9.0 이상 권장)
    5. Windows Meadia Player에서 열어본 파일목록 삭제방법 
       맨위의 파일을 누르면 보았던  동영상 파일들이 나타나고 다시 클릭하면 열리는데

       이것들을 모두 없애고저 할 때는 도구-옵션-개인정보에서 기록지우기- 확인을 누르면 삭제된다.
    6. 드라이브 순서 바꾸는 방법 
       시작-제어판-관리도구 -컴퓨터관리-" 디스크관리"에서 드라이브선택-
       마우스오른쪽-' 드라이브 문자 및 경로변경'을 누르면 된다 
       (참고) 이곳에서 순서를 바꾸나 운영체제가 깔린 드라이브C: 는 바꿀수 없다. 
     7. 방화벽 설정 및 제거하는 방법    
       윈도우 XP는 인터넷 연결방화벽 설정부분이 있어 다른컴퓨터가 내 컴퓨터를 엑세스함을 막음.
       P2P(공유프로)를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 이때
    방화벽을 제거해야 한다 
     방법: 바탕화면의 네트워크환경의 등록정보- 자신의 네트워크 연결항목을
    선택- 마우스우측 클릭

      등록정보를 열어 고급-인터넷 연결방화벽을 체크하던지 체크아웃 한다.
    8. 윈도XP의 정품 인증 확인하는 방법 
       1)제어판에서 확인 :

      시스템-일반-사용자정보- xxxxx-640-xxxxxxx-xxxxx 경우(불법윈도우)
      시스템-일반-사용자정보-xxxxx-OEM-xxxxxxx-xxxxx 경우(정품윈도우)
                                     xxxxx-090-xxxxxxx-xxxxx 경우(정품윈도우)

    9. 컴퓨터 부팅시 로그온 암호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방법 

       시작 -> 설정->제어판->사용자계정-> 컴퓨터관리자를 클릭->암호만들기에 

       들어가 새암호(어렵고 복잡하게 만듬)를 두 번 입력한 후 암호만들기를 클릭한다
    10. 자동업데이트 설정하기
       
    Windows를 보호하기 위해 패치를 자동으로 하도록  제어판-자동업데이트

       실행-자동업데이트 대화상자-자동권장선택 하고 매주요일과  시간을 설정하고 확을 누른다
    11. 사용자의 PC보안 설정확인하기 
       
    사용자의 PC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제어판-보안센터 더블클릭-
    Windows보안센터 화면에서

       방화벽.자동업데이트.바이러스항목이 모두 사용중이 되도록 설정해 두어야 한다. 
    12. 파일시스템 FAT32와 NTFS방식의 장단점은 ? 
       NTFS방식은 FAT32방식에 비해 안정성,보안성,디스크단편화등이
    우수하게 나타나지만

       프로그램 액세스 속도면에선 FAT32방식보다 느리다.
       데스크탑등 서버용이 아닌 일반사용면에선 FAT32방식이 유리함을 알수있다.
       FAT32에서 NTFS로의 변환은 데이터를 그대로 유지한채 변환가능하지만

       NTFS에서 FAT32로의 변환은 포맷하여야 함으로 변환을 결정할시 주의를 요함. 
       NTFS에서 FAT32로 포맷이 잘안된다고 하는데 FDISK실행후 비도스영역 파티션을 삭제한 후

       파티션 설정을 하면 가능하다. 

                                    하드웨어 tip 

    1. 컴퓨터를 켜면:1) 삐~ 삐리 삐~삐리 소리를 내거나 2) 삐~ 삐~소리를

       길게 내며 부팅이 않되는 경우  
       앞의경우는 그래픽 카드가 슬롯에 올바르게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픽 카드를 빼서

      지우게로 딱아 슬롯에 깊숙이 꽂아보고 그래도 에러가 소리가 나면 그래픽 카드에 문제가 있으니

      교체해 본다 .뒤의 경우는 메모리가 슬롯에 올바르게 꽂혀 있지 않거나 불량임
    2. 부팅을 하면 메모리 체크를 3번씩이나 연속해서 체크를 합니다 
       RAM 체크의 1번과 3번의 차이는 메모리 테스트를 빨리 하느냐 아니면 천천히 세심하게 하느냐 인데
       (어워드사 바이오스의 경우). 먼저 컴퓨터를 켠 후 del 키를 눌러
    'CMOS Setup'에 들어간다.

      'BIOS Features Setup' 항목을 선택하여 'Quick Power On Self-Test' 항목을 찾아 'Enabled'로

       설정한 후 저장함. 이제 재부팅시 메모리 테스트를  확인해 본다.
    3. PC를 켤 때마다 매번 시간 설정이 변경됩니다. 원인이 무엇입니까?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오래 되면 컴퓨터가 꺼져 있을 때 CMOS에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여

       CMOS에 기록된 내용이 지워진다.  
       이는 CMOS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교체함으로써 해결 할 수 있다.  
    4. Missing operation system 혹은 Non-system disk or disk error

      이라는 에러 메세지가 나온다 
      이런 경우는 우선 FDD에 부팅화일이 없는 디스켓이 들어있는지 확인해 본다.
      이경우가 아닐때는 HDD내의 시스템화일이 깨진 경우로  윈도를 덮어 설치하거나
      C:\드라이브를 포맷한후 윈도우를 재설치 하면된다 또 하나는 HDD의 부트섹터가 깨어져  

      배드섹터가 생긴 경우로 하드디스크를  교체해야 한다

                                                -  이  주  희  올림  -


                  

출처 : 이 주 희 블 로 그
글쓴이 : 작은거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