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참고

[스크랩] 자주 사용하는 용어의 개념 정리

영웅호걸짱 2018. 12. 18. 02:50

 ▣ 용어의 개념 정리
  HTML을 공부하기 전에 우리가 인터넷을 접하면서 자주 사용되는 
몇가지 용어들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고 넘어가자
 1, 인터넷(Internet)이란 무엇인가?
  인터넷이란 말은 원래 영어로 "Inter" + "Network"라는 단어가 
서로 결합된 것으로서, Network라는 단어는 망이라는 뜻이죠!  
하나의 망에 또는 사이로 연결하겠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입니다. 
그래서, 인터넷이란 말을 여러 측면에서 얘기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세계의 수많은 컴퓨터를 연결하는 컴퓨터 통신망"
이라고 정의 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인터넷(Internet)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  컴퓨터를 이용한 편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전자우편 : E-mail) 
  ▷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  다른 장소에 있는 컴퓨터를 자신의 방 안에서 이용할 수 있다.
  ▷  필요한 정보나 파일이 인터넷상의 어느곳에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  동호회를 조직하고 가입할 수 있다. 
  ▷  전세계의 사람들과 실시간으로 컴퓨터를 통한 대화를 할 수 있다.
  ▷ 그리고, 네트워크를 통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2.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이란?
 인터넷의 서비스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만, 월드와이드웹이 
등장하기 전에는 FTP, 텔넷(Telnet), 아치(Archie), 와이즈(WAIS), 
고퍼(Gopher) 등 다양한 인터넷 접속 및 검색 툴이 개발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넷 이용 방법은 너무 어려워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어서 일부 전문가들이 주로 이용했었죠!
지금 인터넷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된 것은 월드 와이드 웹
(World Wide Web)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부터입니다. 
 월드 와이드 웹은 줄여서 그냥 "웹(Web)" 또는 "WWW"라고 부릅니다.
기존에는 인터넷서비스를 사용하려면 유닉스 명령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전문가들이 아니면 인터넷이 어렵다는 인식을 주었으나, 
웹 개념이 도입되면서 누구나 쉽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요즘에는 인터넷을 한다고 하면 웹을 사용한다고 생각할 정도로 
WWW는 인터넷서비스의 핵심이 되었습니다.
 3. 웹 브라우저(Web Browser)란?
  웹 브라우저란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웹 서버의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서 문자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하이퍼미디어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사용자가 음성이나 영상 정보를 원할때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불러 
실행함으로써 웹의 다양한 자원들을 다룰 수 있다.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스사의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Netscape Navigator)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Internet Explorer)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4.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이라 
할 수 있다. 인터넷의 월드 와이드 웹(WWW) 서버와 WWW 브라우저가 
파일 등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클라이언트/서버 규약으로 
WWW 브라우저의 화면상에서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http://www.daum.net’과 같이
‘http://’로 시작되는 URL을 지정하면, 여기에 있는 데이터를 하이퍼
텍스트 전송 규약(HTTP)을 사용하여 서버에서 브라우저로 전송한다. 
 5. URL이란?
 URL은 uniform resource locator 약자로 인터넷상에 있는 각종 
정보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준입니다. URL은 웹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서버들에 있는 파일들의 위치를 명시하기 위한 것으로 
접속해야 될 서비스의 종류, 서버의 위치(도메인 네임), 파일의 위치를
포함합니다. 일반적인 체계(syntax)는 
프로토콜://정보를 가진 컴퓨터 이름/디렉터리 이름/파일 이름 입니다. 
여기서 정보를 가진 컴퓨터의 이름을 도메인 네임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즉 URL을 익스플로러창에 치시고 엔터를 치시면 그 정보가 도메인 서버에 
전해지고 도메인서버는 받은 URL 정보를 토대로 자신의 데이타베이스 
내에서 맞는 항목을 찾아서 ip address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즉 URL이 없으면 한 웹페이지(웹페이지를 표시할 파일)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가 없는겁니다. 
 그 주소에 접속하려면 해당 URL에 맞는 프로토콜을 알아야 하고, 
그와 동일한 프로토콜로 접속해야 한다.
  FTP 프로토콜인 경우에는 FTP 클라이언트를 이용해야 하고, 
  HTTP인 경우에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야 한다. 
  Telnet의 경우에는 Telent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접속해야 한다.
출처 : 로댕하우스
글쓴이 : 로댕 원글보기
메모 :